본문 바로가기

All/Technology

군중 사고를 예방하는 AI CCTV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엘제이테크 공식 블로그 Oh!엘제이입니다.

 

오늘은 AI 기반 CCTV 기술이 어떻게 군중 사고를 예방하고 관제 효율을 높이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 헬로윈데이에 발생한 이태원 참사는 갑작스레 밀집된 인파가 좁은 공간에 몰리며 발생한 참극이었습니다.

 

이처럼 대규모 인원이 특정 장소에 집중되는 상황은 언제든지 도시 내에서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 위험입니다.

 

서울 서초구청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AI 인식 기술을 도입했습니다.

 

서초구는 강남역 일대의 보행자 흐름과 밀집 정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혼잡 구간 진입 시 대형 전광판 등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서울시 재난 상황실과 경찰 등 유관 기관과 정보를 공유해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 사례는 2025년 4월 19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CCTV 통합관제 우수 사례 경연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습니다.

 

AI 기반 CCTV는 단순한 감시를 넘어 재난 상황을 예측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북 군산시는 ‘이상 음원 인식’ 기능을 도입해 “도와주세요” 같은 비명을 감지해 실시간 경고를 보내고 있으며, 제주도는 실종자 탐색에, 경기도는 IoT 센서를 통해 화재 및 침수 위험을 조기에 파악하는 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AI CCTV는 지자체가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게 돕고, 동시에 관제 인력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도 큽니다.

 

AI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려면 대량의 고품질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실제 재난 상황 영상은 수집이 어렵고 오탐률도 높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가상의 재난 영상을 만들어 학습 데이터를 보강하는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또한, 조도가 낮거나 멀리 있는 객체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즘 최적화, 영상 해상도 차등 저장 등 분석 효율을 높이는 다양한 기술적 시도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AI 기술이 CCTV의 눈과 두뇌를 대체하며 도시 안전망을 강화하고 있는 지금, 이 흐름은 더욱 정교하고 신속한 대응 체계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s://drkimfixnsolve.tistory.com/161 [김선생 FixnSol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