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엘제이테크 공식 블로그 Oh!엘제이입니다.
오늘은 영상보안 시스템의 숨은 핵심 인프라, **‘네트워크 스위치(Network Switch)’**의 기술과 시장 흐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시는 수많은 CCTV의 눈으로 움직입니다. 그러나 카메라가 아무리 많아도, 그 영상이 제대로 전송되지 않으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영상은 단순히 ‘찍히는 것’이 아니라, ‘안정적으로 전송되고 저장되는 과정 전체’를 통해 가치가 만들어집니다.
이때 모든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고 연결하는 장비가 바로 네트워크 스위치입니다.
CCTV, NVR, 관제센터, 클라우드 서버 사이를 잇는 스위치는 일종의 ‘데이터 허브이자 보안 게이트웨이’입니다. 단순히 연결하는 장비를 넘어, 실시간 전송 속도, 데이터 무결성, 보안성까지 책임지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시장조사업체 Global Growth Insights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네트워크 스위치 시장은 383억 1,500만 달러로 평가됐으며, 2033년에는 466억 1,70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연평균 약 4.7%의 안정적 성장률입니다.
성장세의 중심에는 ‘영상 데이터’와 ‘스마트 인프라’가 있습니다.
CCTV와 IoT 센서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실시간 데이터 트래픽을 감당할 인프라로서 고성능 스위치의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또한, 전력과 데이터를 하나의 케이블로 전송할 수 있는 POE(Power over Ethernet) 기술이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Market Research Intellect에 따르면 전 세계 POE 스위치 시장은 2024년 35억 달러, 2033년에는 7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12.3%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입니다.
POE 스위치는 IP 카메라, VoIP, 무선 AP 등 전력 공급이 어려운 장비의 연결을 단순화하여 스마트 시티·보안·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실현합니다.
최근 스위치 기술의 진화 방향은 명확합니다. 보안성 강화, 고속화, 관리 자동화, 그리고 에너지 효율화입니다.
1️⃣ 보안성 강화
영상보안 네트워크는 개인정보 및 중요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스위치 자체의 보안 기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제는 단순 패킷 전송뿐 아니라, 포트 접근 제어(Port Security), ARP 스푸핑 차단, ACL(Access Control List),
DHCP Snooping과 같은 보안 내장 기능이 필수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외부 해킹이나 내부 유출에 대비하기 위한
암호화 통신(TLS/SSL)과 보안기능확인서(KISA/국정원 인증)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습니다.
2️⃣ 고속 네트워킹
5G, 클라우드, AI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10G~100G급 백본 스위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용량 CCTV 네트워크에서는 초당 수백 기가비트의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고속 업링크 포트와 링 구조 이중화(ERPS, LACP) 지원이 중요합니다.
3️⃣ 지능형 관리 기능
최근 기업과 지자체는 클라우드 기반 스위치 관리 플랫폼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웹 기반 GUI, SNMP v3, Syslog, 그리고 CLI(Command Line Interface) 기반의 하이브리드 관리 환경이 구축되고 있으며, AI 분석 기반의 트래픽 이상 탐지나 자동 장애 복구 기능까지 탑재되는 추세입니다.
4️⃣ 에너지 효율과 ESG
지속 가능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저전력 설계, 자동 전력 조절, 열 효율 최적화 등이 새로운 경쟁 포인트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POE++(802.3bt) 스위치는 90W까지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고효율 회로 설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스위치의 수요는 이제 IT 기업만의 영역이 아닙니다.
- 스마트 팩토리: 기존 Modbus, Profibus 등의 시리얼 통신이 Modbus TCP, Profinet 등 이더넷 기반으로 전환되면서 산업용 스위치 채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 에너지 산업: IEC 61850-3 표준 기반의 디지털 변전소로 전환 중이며, BESS(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확산으로 BMS·PCS·EMS 영역에서의 수요가 커지고 있습니다.
-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및 AI 연산 확대로 초대규모 센터가 늘어나면서, 스위치의 이중화·로드밸런싱·보안 기능이 핵심 요건이 되고 있습니다.
- 교통 인프라 및 국방 분야: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철도, 선박 등에서도 산업용 방수 스위치 및 군 보안망 전용 제품이 활발히 채택되고 있습니다.
'All > Tech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기술과 VMS이 결합된 새로운 영상분석 대해 알아보자 (0) | 2025.09.06 |
---|---|
기후 위기 시대, 지능형 재난 감시 체계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5.08.20 |
폭발 사고를 예방하는 방폭 CCTV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7.05 |
군중 사고를 예방하는 AI CCTV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5.10 |
CCTV 영상에 찍힌 내 얼굴, 어떻게 관리될까?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