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Technology

서울시의 AI CCTV의 오탐 해결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엘제이테크 공식 블로그 Oh!엘제이입니다.

 

서울시가 ‘제30회 정보통신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습니다. 오늘은 서울시가 어떻게 지능형 CCTV를 발전시켜 시민 안전망을 강화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는 현재 약 11만 5,000대의 CCTV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4만 2,995대가 지능형으로 고도화되어 있습니다.

 

과거에는 관제요원 한 명이 1,199대의 화면을 동시에 확인해야 해 육안관제의 한계가 뚜렷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는 총 950억 원을 투입해 지능형 CCTV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그 결과 범죄 발생률이 5% 감소하고 검거율은 4% 상승했습니다. 시민이 느끼는 체감 안전지수도 21% 증가하며, AI 기술이 실제로 도시 안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기존 지능형 CCTV는 합성곱신경망(CNN) 기반 판별형 기술에 머물러 있어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개가 엎드려 있는 모습을 쓰러진 사람으로 인식하는 오류가 빈번했습니다.

 

이에 서울시는 산·학·연 및 자치구가 참여하는 ‘지능형 CCTV 활성화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맞춤형 이벤트 설정, 오탐 데이터 학습, 사물·사람 구분 학습을 강화한 결과, 불과 4개월 만에 눈에 띄는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AI의 상황 판별 정확도는 36%에서 71%로 향상되었고, 관제요원의 이벤트 확인률은 37%에서 82%로 높아졌습니다.

 

특히 불필요한 탐지 건수는 월 454만 건에서 53만 건으로 줄어들며, 약 8.8배의 감소 효과를 거뒀습니다. 사건 처리 속도와 품질이 동시에 개선된 것입니다.

 

서울시는 7개월 간의 학습을 통해 AI의 인식 능력을 ‘1세 옹알이 단계’에서 ‘5세 어린이 수준’으로 끌어올렸다고 밝혔습니다. 이제는 단순한 물체 감지가 아니라, 사물과 사람, 동물을 구분하고 상황을 이해하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또한, 2026년부터는 생성형 AI를 CCTV 관제에 접목하는 시범사업이 추진됩니다. 기존 CCTV가 ‘이상이 있다/없다’만을 판단했다면, 앞으로는 ‘왜 이상한지’, ‘어떤 맥락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스스로 설명할 수 있는 단계로 발전하게 됩니다.

 

서울시는 이번 대통령상 수상을 계기로 생성형 AI 기반 관제 모델을 자치구 전역으로 확산시켜,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AI 안전도시 서울’을 구축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지능형 CCTV는 단순한 감시를 넘어 상황을 이해하는 AI 관제로 진화하고 있다”며 “서울시는 오탐을 줄이고 골든타임을 지켜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출처: https://drkimfixnsolve.tistory.com/161 [김선생 FixnSol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