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엘제이테크 공식 블로그 Oh!엘제이입니다.
오늘은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6년도 예산안, 특히 국민 안전 분야 강화와 첨단기술 기반 대응 전략에 대해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행정안전부는 2026년도 예산안을 총 76조 4,426억원 규모로 편성했습니다.
이는 이재명 정부 첫 예산안으로, AI 민주정부 구현, 국민 안전 강화, 자치발전과 균형성장, 사회통합 등 핵심 국정과제를 충실히 이행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지방교부세는 69조 3,459억원, 인건비 및 기본경비는 4,302억원으로 책정됐습니다.
특히 사업비는 올해 대비 43.8% 증가한 6조 6,665억원이 배정되며, 큰 폭의 확대가 이뤄졌습니다.
사업비 가운데 △자치발전·균형성장이 2조 5,921억원(38.88%)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국민 안전은 2조 5,197억원(37.80%)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어 △AI 민주정부 및 정보화 8,649억원(12.97%), △사회통합 등 6,898억원(10.35%) 순입니다.
국민 안전 분야에만 2조 5,197억원이 편성돼 전체 예산의 약 3.3%를 차지합니다.
이는 2025년 재난안전 분야 확정 예산 1조 6,681억원 대비 약 51% 증액된 규모로, 재난 대응 역량 강화 의지를 보여줍니다.
세부적으로는 △기후위기와 대규모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AI·데이터 기반 예측·감시 체계 강화 △국민안전산업펀드 조성 △재해위험지역 정비 확대 △재난 피해 주민 지원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산 배분을 보면, 재난안전 AI 관제체계 및 데이터 구축 예산이 124억원으로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확대됐습니다.
위성·CCTV·드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AI로 분석하여 생활안전 정보를 제공하고, 지능형 CCTV 관제 시스템 확산도 지원합니다.
또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 드론 데이터 플랫폼 구축(34억원)이 신규 반영돼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가 강화됩니다.
첨단기술 기반 안전산업 육성도 눈에 띕니다.
정부는 50억원 규모의 국민안전산업펀드를 조성해 관련 기업 성장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재해위험지역 정비 예산은 2025년 추경 9,443억원에서 2026년 1조 488억원으로 늘었고, 재난대책비도 2026년 1조 100억원으로 확대돼 호우·태풍·산불 등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복구와 이재민 지원을 가능케 합니다.
결국 이번 예산안은 재해 예방, 피해 최소화, 복구 지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첨단기술을 통해 국민 안전을 한층 더 고도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예산안은 올 12월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All > 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CCTV 시장에 대해 알아보자2 - 방글라데시편 (0) | 2025.09.12 |
---|---|
불편한 시선 CCTV, 시민들의 우려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5.07.26 |
CCTV 행동수칙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7.13 |
영상정보관리사 자격증 필요할까? (4) | 2025.06.20 |
2025년 개인정보 중심 설계(PbD) 시범인증에 대해 알아보자 (5) | 2025.06.12 |